티스토리 뷰

제사 지방 쓰는 방법(+한글파일)

 

명절이 되면 제사를 지내지만 1년에 1~2차례만 있기 때문에 지방 쓰는 방법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명절 뿐 아니라 집안의 제사를 자주 지내는 가족의 경우는 잘 알고 있을 수 있지만 어쩌다가 명절에만 할 경우에는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꼭 붓글씨로 지방을 썼지만 최근에는 프린트해서 붙이기도 합니다. 명절마다 헷갈리는 제사 지방쓰는 방법과 함께 한글파일을 다운로드해서 프린트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옛날에는 제사를 지낼 때 사당이 있었고 위패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가정마다 사당이나 조상의 위패가 없습니다. 그래서 제사를 지낼 때 형편상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지방입니다.

지방 규격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입니다. 지방을 제작할 때는 나무로 제작된 기성상품을 제사용품 가게에서 구입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종이는 한지를 사용하며 길이는 세로로 1자 2치 이고 가로로 3치로 잘라서 사용하는데요. 지금의 단위로 환산하면 너비가 6cm, 길이가 22cm로 직사각형으로 자른 후 위의 2개의 모서리를 둥글게 오려서 만들어야 합니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이유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는 것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지방 내용 배치 방법

지방내용의 배치 형식을 알아야 합니다. 단설인 경우 지방 1개에 한 분만을 씁니다.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계신다면 지방이 2개가 됩니다.

합설인 경우 함께 씁니다. 돌아가신 내외분을 함께 쓰는데요. 요즘에는 대부분 합설로 지내는 편입니다. 제사를 지낼 때 지방을 보고 있는 위치에서 아버지를 서쪽(왼쪽), 어머니를 동쪽(오른쪽)에 모시면 됩니다.

지방쓰는 방법 및 풀이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씁니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씁니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쓰면됩니다.

참고 - 비즈폼

지방을 쓸 때 제사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자리 순서로 적으며 앞에는 존경 한다는 의미로 顯(현)자를 적고 시작하며 마지막에 "신위"라고 꼭 적으셔야 합니다.

지방은 제사를 지낼 때마다 새롭게 작성해야 합니다. 한 번 사용한 지방은 제사 후 불에 태워 없애는 것이 관례입니다.

 

지방은 백지에 붓으로 정성을 다해 써야 합니다. 요즘에는 컴퓨터로 인쇄해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의 첨부한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집안에 맞게 변경시켜 작성하시고 이용하면 됩니다.

 

 

지방 예문 다운로드

지방예문.hwp
1.14MB

댓글
공지사항